방사선치료의 부작용 및 관리 - 복부, 골반
[복부]
상복부암 방사선치료 중에는 일시적으로 가벼운 복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에 많은 방사선량이 투여되면, 일시적으로 간 수치가 상승하는 방사선 간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소화불량, 설사 및 복통, 장출혈 · 궤양 · 천공, 식욕 저하, 오심, 구토, 속쓰림, 간 · 신장 기능 저하, 방사선폐렴, 장폐색, 장유착, 복막염, 십이지장염 등이 있습니다.
1) 설사 및 복통
방사선이 장에 영향을 미쳐 설사와 복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관리 방법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약물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치료 직전 부담되는 식사는 피하고 금식 상태를 유지합니다.
2) 장출혈 · 궤양 · 천공
장의 염증이나 궤양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점막 섬유화가 진행되면 장 협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나이, 궤양과 염증 이력, 방사선량, 종양 위치, 수술 이력, 항암치료 병행 여부 등 특정 요인에 따라 부작용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복통, 속쓰림, 체중 감소, 심한 경우 흑색변 혹은 혈변 증상이 나타납니다.
▶ 관리 방법
증상이 지속되면,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조치해야 합니다. 특히 소화 장애로 인해 영양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게 되면 방사선치료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식단에 관심을 가지고 5대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골반]
골반 방사선치료의 주요 부작용으로는 방광염 및 요실금, 장염, 장 관련 합병증, 성기능 장애, 생식 기능 장애 및 불임 등이 있습니다.
1) 방광염 및 요실금
방사선으로 방광에 염증이 생기면 소변을 자주 보고 싶거나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드물게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은 치료 종료 후 1~2개월 이내에 회복됩니다.
▶ 관리 방법
커피, 차, 술, 담배 등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섭취를 피하세요. 괄약근을 조이는 운동을 꾸준히 하면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됩니다.
2) 장염
직장이나 소장이 방사선의 영향을 받아 복통이나 구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하복부암 환자는 배변 횟수가 증가해 밤에 빈번하게 깰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항암치료와 병행할 때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 관리 방법
화장실을 자주 가지 않도록 참고 배뇨 습관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세요. 증상이 심할 경우, 약물 처방 및 영양 보충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3) 장 관련 합병증
드물게 직장이나 골반 내부에서 출혈이나 누공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관리 방법
혈변이 나타나면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세요. 처치가 필요한 경우는 드물며,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드물게 직장이나 골반 내부에서 출혈이나 누공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성기능 장애
난소가 방사선에 노출되면 조기 폐경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여성은 성교 시 통증이나 질 협착을 겪을 수 있습니다. 남성의 경우 생식기가 방사선의 영향을 받으면 발기 부전이나 불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녀 계획이 있는 환자는 치료 전 의사와 충분히 상의해야 하며, 치료 후 최소 1년 동안 피임을 권장합니다.
▶ 관리 방법
치료 중에는 성관계를 피하고, 치료 종료 후 4~6개월 이후부터 성관계를 시작하면 질 협착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질 건조증이나 통증이 있을 경우, 수용성 윤활제를 사용하거나 부인과 진료를 통해 질 확장 방법에 대해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