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조혈모세포이식치료

조혈모세포이식이란 무엇인가요?

조혈모세포는 정상적인 피를 만들어내는 엄마 세포로서, 각종 혈구의 중간 과정인 전구세포를 거쳐 혈액 내 여러 세포(적혈구, 혈소판, 백혈구 등)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조혈모세포는 골수, 혈액, 제대혈에 존재하며, 이를 이식하는 것을 ‘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합니다. 흔히 ‘골수이식’이라고 불리기도 하나, ‘조혈모세포이식’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external_image


골수에서 조혈모세포를 직접 채취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조혈모세포를 말초혈액에서 채취하여 이식하는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이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조혈모세포이식은 조혈모세포를 제공하는 공여자와 환자와의 관계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경우 자가조혈모세포이식,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경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합니다.


external_image


1) 자가조혈모세포이식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은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 및 전신 방사선요법으로 종양세포를 최대한 제거하고, 이로 인해 손상된 골수 기능을 미리 채취한 자가조혈모세포를 주입함으로써 회복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일반적으로 통상 용량의 4~6배의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여 재발 가능성을 줄이고 더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은 비호지킨림프종, 호지킨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백혈병 등의 혈액암은 물론, 고환암, 난소암, Ewing 육종, 신경모세포종 등의 고형암 환자에게서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2) 동종조혈모세포이식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환자의 조혈모세포가 부족하거나 암세포 등으로 조혈모세포가 병들었을 때 강력한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으로 암세포와 환자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제거한 후, 건강한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새로 이식하는 치료법입니다. 특히 혈액암 환자에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에 따른 종양 제거 효과뿐만 아니라, ‘이식편대종양효과’로 재발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백혈병, 악성 림프종, 골수형성이상증후군, 골수증식성질환, 재생불량성 빈혈, 자가면역질환, 면역 부전증 등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암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은 본원 홈페이지의 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