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혈모세포이식이란 무엇인가요?
조혈모세포는 정상적인 피를 만들어내는 엄마 세포로서, 각종 혈구의 중간 과정인 전구세포를 거쳐 혈액 내 여러 세포(적혈구, 혈소판, 백혈구 등)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조혈모세포는 골수, 혈액, 제대혈에 존재하며, 이를 이식하는 것을 ‘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합니다. 흔히 ‘골수이식’이라고 불리기도 하나, ‘조혈모세포이식’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골수에서 조혈모세포를 직접 채취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조혈모세포를 말초혈액에서 채취하여 이식하는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이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조혈모세포이식은 조혈모세포를 제공하는 공여자와 환자와의 관계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경우 자가조혈모세포이식,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경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합니다.
1) 자가조혈모세포이식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은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 및 전신 방사선요법으로 종양세포를 최대한 제거하고, 이로 인해 손상된 골수 기능을 미리 채취한 자가조혈모세포를 주입함으로써 회복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일반적으로 통상 용량의 4~6배의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여 재발 가능성을 줄이고 더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은 비호지킨림프종, 호지킨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백혈병 등의 혈액암은 물론, 고환암, 난소암, Ewing 육종, 신경모세포종 등의 고형암 환자에게서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2) 동종조혈모세포이식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환자의 조혈모세포가 부족하거나 암세포 등으로 조혈모세포가 병들었을 때 강력한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으로 암세포와 환자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제거한 후, 건강한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새로 이식하는 치료법입니다. 특히 혈액암 환자에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에 따른 종양 제거 효과뿐만 아니라, ‘이식편대종양효과’로 재발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백혈병, 악성 림프종, 골수형성이상증후군, 골수증식성질환, 재생불량성 빈혈, 자가면역질환, 면역 부전증 등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