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조혈모세포이식치료

조혈모세포이식의 부작용 및 회복

▶ 조혈모세포이식의 부작용은 어떻게 되나요?

조혈모세포이식의 부작용은 대부분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으로 인해 나타납니다. 오심, 구토, 구내염, 설사, 탈모, 불임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백혈구 · 혈소판 수치가 감소하므로 감염 ·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의 경우 다른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이식받기 때문에 ‘이식편대숙주반응’이라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식편대숙주반응은 동종이식에서 공여자의 T림프구가 이식받은 몸을 공격해서 생기는 것으로, 주로 피부, 간, 장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예방을 위해 면역억제제를 투여하게 됩니다.


▶ 조혈모세포이식 후 회복이 궁금합니다.

external_image


  주입된 조혈모세포는 대개 이식 후 2주 전후로 환자의 골수에 정착하여 새로운 적혈구 및 백혈구와 혈소판을 생산하기 시작합니다. 이를 ‘생착’이라고 하며, 생착의 첫 징후는 백혈구의 증가입니다. 이식 후 10~14일 정도가 되면 백혈구 수치가 상승하게 되고, 이후 적혈구가 회복되며, 혈소판은 가장 늦게 생착됩니다. 호중구 수치가 안정적이고, 다른 부작용이 잘 조절되면 퇴원하게 됩니다.

 

external_image

  퇴원 이후에는 일상생활에서 운동량을 서서히 늘려나가는 것이 좋고, 과격한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이식 후 일정 기간(자가이식 3~6개월, 동종이식 6~12개월) 동안은 면역 기능이 약해져 있으므로 감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의 경우, 면역억제제 복용으로 인해 감염에 더욱 취약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림프구가 소실되므로 새로운 림프구들이 감염에 대항할 수 있도록 예방접종을 다시 받아야 하며, 대개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이후 6~12개월이 지난 후부터 시작합니다.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조혈모세포이식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나요?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암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은 본원 홈페이지의 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