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배액관 관리

일상생활에서 주의사항

- 배액관 손상 방지

배액관이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움직일 때 배액관을 옷 속에 고정하거나 클립으로 고정합니다.

날카로운 물체에 배액관이 찢어지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 배액관 청결 유지

배액관과의 연결 부위는 항상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오염된 손으로 배액관 및 배액관 삽입 부위를 만지지 않습니다. 


- 활동 및 자세 조절

무리한 운동이나 배액관 부위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자세는 피합니다.

수면 시 배액관이 눌리지 않도록 합니다.

배액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배액 주머니는 배액관 삽입 부위보다 아래에 위치시킵니다.


- 배액 상태 관찰

배액량이 급격히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색깔이 갑자기 변하는 경우 응급실에 방문합니다. 또한 배액물에서 악취가 나는 것은 감염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 문제 발생 시 대처 방법

- 갑작스러운 통증이나 발열 발생

배액관 삽입 부위나 그 주변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거나, 전신 발열(38°C 이상)이 있으면 응급실 방문이 필요합니다.

감염이나 염증의 초기 신호일 수 있으므로 빠른 대처가 중요합니다.


- 배액물 색깔 또는 냄새 변화

배액물의 색깔이 갑자기 붉게 변하거나, 고름이 섞인 것처럼 보인다면 의료진에게 알립니다.

배액물에서 악취가 나면 감염을 의심하고 빠르게 대처해야 합니다.


- 배액관 막힘

배액물이 갑자기 나오지 않거나 양이 갑자기 줄어든 경우, 배액관이 막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배액관을 강제로 만지거나 눌러서 뚫으려 하지 않고,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 배액관이 빠진 경우

배액관이 빠졌다면 깨끗한 거즈로 삽입 부위를 덮어 감염을 막고, 응급실에 방문합니다.

배액관을 스스로 다시 삽입하려 하면 안 됩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암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은 본원 홈페이지의 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