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조혈모세포이식치료

조혈모세포이식이란 무엇인가요?

조회수 : 2726 등록일 : 2025-01-17

조혈모세포는 정상적인 피를 만들어내는 엄마 세포로서, 각종 혈구의 중간 과정인 전구세포를 거쳐 혈액 내 여러 세포(적혈구, 혈소판, 백혈구 등)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조혈모세포는 골수, 혈액, 제대혈에 존재하며, 이를 이식하는 것을 ‘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합니다. 흔히 ‘골수이식’이라고 불리기도 하나, ‘조혈모세포이식’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external_image


골수에서 조혈모세포를 직접 채취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조혈모세포를 말초혈액에서 채취하여 이식하는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이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조혈모세포이식은 조혈모세포를 제공하는 공여자와 환자와의 관계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경우 자가조혈모세포이식,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경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합니다.


external_image


1) 자가조혈모세포이식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은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 및 전신 방사선요법으로 종양세포를 최대한 제거하고, 이로 인해 손상된 골수 기능을 미리 채취한 자가조혈모세포를 주입함으로써 회복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일반적으로 통상 용량의 4~6배의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여 재발 가능성을 줄이고 더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은 비호지킨림프종, 호지킨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백혈병 등의 혈액암은 물론, 고환암, 난소암, Ewing 육종, 신경모세포종 등의 고형암 환자에게서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2) 동종조혈모세포이식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환자의 조혈모세포가 부족하거나 암세포 등으로 조혈모세포가 병들었을 때 강력한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으로 암세포와 환자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제거한 후, 건강한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새로 이식하는 치료법입니다. 특히 혈액암 환자에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에 따른 종양 제거 효과뿐만 아니라, ‘이식편대종양효과’로 재발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백혈병, 악성 림프종, 골수형성이상증후군, 골수증식성질환, 재생불량성 빈혈, 자가면역질환, 면역 부전증 등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