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의 통증 및 증상 관리

조회수 : 193632 등록일 : 2017-09-29

통증관리

하면 바로 통증을 연상하듯이 통증은 암 환자와 가족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증상입니다. 통증은 78~80% 암환자가 경험하는 가장 흔한 임상증상이고, 생존기간 동안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큰 요인입니다. 통증이 심해지면 불면 및 식욕부진이 지속되면서 체력이 저하되고, 정신적으로는 불안과 죽음에 대한 공포가 심해지면서 우울 상태가 가속화되어 더욱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암성 통증은 90% 이상이 조절 가능한 통증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고통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의료진에게 통증에 대해서 자세하게 말씀하십시오. 

 암으로 인한 통증은 대부분 먹는 약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진통제의 용량 및 용법은 의료진과 상의하십시오.

 진통제로 인한 중독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약 이외에도 여러분 스스로 또는 가족의 도움을 받아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호흡곤란

주로 호흡기 암, 폐렴, 흉막삼출 등 호흡기계나 빈혈, 심부전, 심낭삼출, 상대정맥폐쇄 등의 순환기계 문제, 그리고 복수 등이 생겼을 때 숨을 쉬기가 어렵습니다.

 호흡곤란이 있을 때 환자들이 매우 불안해하며 불안정해지므로 환자의 마음을 진정시켜주도록 돕습니다. 옆에서 천천히 심호흡하도록 돕습니다.

 실내공기는 서늘하게 통풍이 되도록 환기를 자주 시켜줍니다.

 자세는 앉는 자세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선풍기를 멀리서 틀거나 부채질을 해서 공기의 흐름을 느끼게 해줍니다. 

 가습기를 설치하여 건조하지 않도록 하고, 가습기는 매일 깨끗이 씻어줍니다.

 모르핀, 기관지확장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여 호흡곤란감을 없앨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합니다.

 보조요법

- 호흡요법 : 안정시킨 상황에서 입을 앞으로 오므려 작게 하여 호흡을 깊고 길게 하고, 가능하면 복식호흡을 시킴으로서 폐활량을 최대한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 산소요법 : 처방된 용량의 산소를 흡입합니다. 가정에서는 산소발생기를 구입하거나 대여하여 이용하는데, 내과 전문의에게 산소처방전을 받으면 의료보험공단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불안은 호흡곤란을 악화시키고 호흡곤란이 극심하면 또 불안이 가중되는 악순환이 계속되므로 항불안제의 사용이 도움이 되기도 하니 의사와 상의합니다.

 

오심, 구토

 위장장애, 항암제 치료, 뇌압상승, 각종 약물, 불안 등으로 메스꺼움이나 구토가 생길 수 있습니다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선택하고 적은 양을 천천히 자주 먹도록 합니다.

 머리를 약간 높인 상태로 쉬게 하며 위치를 자주 바꿔주고 느슨한 옷을 입게 합니다. 물수건으로 얼굴을 시원하게 닦아주고 입안을 찬물이나 식염수로 헹구도록 합니다.

 메스꺼움을 느낄 때는 음식을 너무 강요하지 않도록 합니다.

 구토증세가 조절되기 전에는 먹거나 마시도록 하지 않습니다.

 주변을 정리하여 냄새나는 것들을 없애고, 식전에 환기를 시킵니다.

 찬 음식은 차게, 뜨거운 음식은 뜨겁게 제공합니다.

 구강간호를 매일 2~3차례 해줍니다.

 갑자기 많은 피를 토하거나, 3일 이상 구토로 식사를 못할 때는 의사에게 알립니다.

 

발열

진행 및 말기암환자의 경우 항암치료 및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과 체력이 소진되어 면역력이 떨어지고, 해당 장기에 손상을 입어 각종 감염으로 발열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특별한 감염의 원인 없이 미열이 계속되는 암성 발열도 일어납니다.

 체온이 38° 이상, 하루 이상 계속될 때 열이 있다고 판단하니 의사와 상의하여 원인을 규명하고 처방된 항생제나 해열제를 복용합니다.

 수분을 많이 섭취합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해 줍니다.

 이마에 찬찜질을 해 줍니다.

 2-3시간 마다 체온을 재어 의료진에게 그 경향을 알려줍니다.

 열을 내리기 위해 얼음 목욕이나 알콜 목욕을 해서는 안 됩니다.

 암성 발열일 경우에는 보통 미열이 계속되며, 특별하게 항생제 처방 안하기도 합니다.


전신 쇠약과 식욕부진

암은 소모성 질환으로 암이 진행될수록 체내 에너지를 고갈시켜 자주 피곤하고, 전신쇠약, 식욕부진을 일으켜 심하게 체중이 빠지고 마르게 됩니다. 

 환자의 근육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가 가능한 일상생활을 스스로 하게 하여 관절 고정, 호흡기 문제, 욕창, 식욕부진, 변비 등을 예방합니다.

 누워서만 지내는 환자일 경우는 관절 운동을 시켜 줍니다. 

 음식을 먹는 것을 강요하지 않습니다.

 환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소량씩 먹게 합니다.

 먹기 쉽고 열량이 높은 음식을 먹도록 합니다(그린비아, 엔슈어 등의 영양캔).

 의사와 상의하여 식욕 촉진제나 스테로이드 투여로 식욕을 촉진하고 활력이 생기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수면장애

통증, 불안, 약물, 신체적 불편감 등으로 잠을 못자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습관적으로 수면제를 투여하는 것보다 환자가 왜 잠을 잘 수 없는가를 파악 하며,수면을 방해하는 원인을 제거합니다.

 저녁 시간의 통증은 특히 적극적으로 조절해 줍니다.

 가능하면 낮잠을 피하고 낮 동안 환자가 좋아하는 적당한 활동을 하도록 합니다.

 이완요법을 시행합니다.(목욕, 향기요법, 발 간호)

• 조명을 어둡게 조절해 줍니다.(어두운 것이 불안한 환자는 은은하게 조절해줍니다.)

 자기 전에 따뜻한 우유나 꿀물 같이 카페인이 없는 따뜻한 음료를 드십시오.

 등이나 발 마사지를 해줍니다.

 요를 깨끗하고 단정하게 가능한 주름이 없도록 준비하십시오.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수면제, 안정제, 진통제 등을 사용합니다.

 

욕창

욕창은 피부가 압박을 받아 산소 공급이 잘 안되어 피부가 죽을 때 일어납니다. 특히 많이 마른 경우, 침상에만 누워 있어나 휠체어에 항상 앉아 있는 사람은 같은 부위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받아 욕창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 오래 누웠던 부위가 빨갛게, 또는 하얗게 변했는지 관찰하십시오. 특히, 엉치, 골반, 어깨, 발꿈치 주변을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적어도 2 시간마다 규칙적으로 체위를 변경해 주십시오.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고, 구김 없이 잘 펴 줍니다.

 에어매트리스, 물침대 등의 특수 침대를 이용합니다.

 침대에서 일어나거나 의자에서 내려올 때 몸을 끌지 말고 항상 들어 주십시오.

 가능한 고단백 음식과 수분섭취를 증가시킵니다. 

 대소변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 더러워진 속옷을 즉시 갈아입히고,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욕창이 생겼을 때는 상처를 조심스럽게 생리식염수로 헹구어 내고 거즈를 대어줍니다. 최소 하루에 1~2회 거즈를 교환해 주십시오.

 상처부위가 커지거나 나쁜 냄새가 나고 녹색 빛을 보일 때는 의사와 상의하십시오.

 

변비

 탈수, 음식섭취 부족, 장운동의 부족, 마약 등의 약물복용 등으로 변비가 잘 생깁니다.

 환자가 대변을 잘 보는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변비를 평가하기 위해 직장수지를 검사하는 게 필요합니다.

 가능하다면 육체적 활동을 권유합니다.

 적절한 양의 수분을 섭취합니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섭취를 권장합니다.

 변비를 유발할 수 있는 약제(마약성 진통제 등)를 사용할 때는 예방적으로 하제를 함께 먹도록 합니다.

 배변양상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투여합니다.

 변 완화제, 장 자극제, 윤활제, 변 연하제, 삼투성 완화제 

 

구강건조

마약성 진통제나 구강섭취의 어려움, 탈수 등으로 입안이 건조해집니다.

 침의 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설탕의 딱딱한 껌, 사탕 등을 먹도록 합니다.

 매일 양치질을 해주고, 환자 스스로 양치질이 어려운 경우 거즈 등으로 매일 2~3차례 닦아 드립니다.

 물을 조금씩 수시로 섭취합니다.

 얼음을 잘게 쪼개거나 신 과일을 얼려 입에 물고 있도록 합니다.

 입술이 항상 촉촉하도록 바셀린을 사용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