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중심정맥관 관리

중심정맥관 관리

조회수 : 488 등록일 : 2025-03-28

Q. 중심정맥관을 갖고 있을 때 무엇을 주의해야 하나요?

●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가 물에 닿거나 잠기지 않도록 합니다. 

● 통목욕은 불가하나(케모포트 제외), 투명 방수 필름으로 삽입 부위를 보호하면 샤워는 가능합니다.

● 드레싱 재료가 떨어질 것처럼 헐거워지거나 젖거나 더러워졌다면 즉시 소독해야 합니다.

●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는 절대 맨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합니다. 

● 중심정맥관이 손상되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Q. 의료진에게 바로 알려야 하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 삽입 부위에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 삽입 부위가 붉게 변하거나 고름,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 삽입 부위에 열감이 있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 삽입 부위나 삽입한 쪽 어깨, 팔이 저리거나 아픈 경우

● 삽입 부위나 삽입한 쪽 얼굴, 어깨, 팔이 붓는 경우

● 관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관이 빠져나온 경우

● 봉합 부위가 벌어진 경우

● 관이 손상된 경우(찢어지거나 구멍이 난 경우)


Q. 중심정맥관은 계속 가지고 있어야 하나요?

사용 목적이 종료되면 제거하게 됩니다. 중심정맥관을 계속 가지고 있으면 감염이나 손상으로 인한 출혈, 패혈증, 색전증 등 여러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Q. 중심정맥관 유지하는 경우 집에서 삽입 부위 소독은 어떻게 하나요? 

병원 근처 약국에서 아래의 소독 재료를 구입합니다. 현재 적용하고 있는 필름으로 구입하고, 샤워하는 경우 투명 방수 필름을 추가로 구매합니다. 

▶ 소독 면봉(포비돈 스왑 스틱 혹은 헥시콜 스왑 스틱)

▶ 거즈 필름(예: 영운드, 메드레스) 또는 투명 방수 필름(예: 테가덤, IV3000)

external_image

소독 재료 구매 후, 아래 순서대로 소독을 시행합니다.

물과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깨끗하게 씻습니다.

삽입 부위에 붙어 있는 필름 드레싱을 가장자리에서부터 조심스럽게 떼어냅니다.

일회용 소독 면봉을 이용하여 소독액을 삽입 부위부터 둥글게 원을 그리며,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소독합니다. 삽입 부위부터 5cm 반경까지 3회 소독을 시행합니다. 바깥쪽을 소독한 면봉은 다시 안쪽으로 들어오지 않게 합니다.

중심정맥관이 피부 바깥으로 나와 있는 경우, 일회용 소독 면봉으로 삽입 부위 쪽에서 중심정맥관 가장자리 방향으로 관을 소독합니다. 중심정맥관의 앞면, 뒷면을 새로운 소독 면봉으로 각각 한 번씩 소독합니다. 가장자리 쪽을 소독한 면봉은 다시 중심부로 들어오지 않게 합니다.

소독액이 충분히 마른 후, 필름 드레싱을 삽입 부위가 완전히 덮이도록 붙입니다. (소독액 건조 시간 - 포비돈 스왑 스틱: 2, 헥시콜 스왑 스틱: 30, 입으로 바람을 불거나 부채질하지 마십시오.)

거즈 필름은 최소 이틀마다, 투명 방수 필름은 최소 일주일에 한 번 교환합니다. , 물에 젖었거나 더러워졌을 경우에는 즉시 다시 소독합니다.


샤워 시 소독 방법

① 거즈 필름 위에 투명 방수 필름을 붙인 후 샤워를 합니다.

② 샤워가 끝나면 물기를 닦고 필름을 제거하여 다시 소독 후 새로운 필름으로 교체합니다.


Q. 중심정맥관이 빠졌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① 즉시 바로 누운 채 멸균 거즈로 최소 5분간 압박하여 지혈합니다.

② 지혈된 것을 확인 후 멸균 거즈 드레싱을 부착합니다. 출혈이 지속된다면 압박 지혈을 추가로 시행합니다. 

③ 이후 1시간 정도 침상에서 안정하며 최소한으로 움직이도록 합니다. 

④ 흉부 통증, 호흡곤란,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⑤ 체내 잔여물이 남아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응급실을 방문하여 흉부 X-ray 촬영을 시행합니다.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중심정맥관 시술 과정이 궁금해요!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