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방사선치료

방사선치료의 부작용 및 관리 - 흉부(폐, 식도)

흉부 방사선치료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주요 부작용으로는 식도염, 폐 섬유화 또는 방사선폐렴, 식도협착, 출혈, 천공, 심근염, 심낭염, 갈비뼈 골절, 무혈성 골괴사, 팔의 감각 및 운동 이상 등이 있습니다.


1) 식도염

치료를 시작한 지 2~3주 후부터 음식을 삼킬 때 목이 걸리는 듯한 느낌이나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증상은 치료 종료 후 한 달 안에 회복되지만, 심한 경우 한 달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 관리 방법

자극적이거나 뜨거운 음식은 피하고, 씹고 삼키기 쉬우며 부드러운 음식을 선택하세요. 수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적은 양으로 자주 식사하여 증상을 완화합니다. 생야채와 감귤류, 담배와 술을 피해서 증상 악화를 예방합니다. 식사 후 30분 이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위액의 역류를 방지하고 속쓰림을 예방합니다. 통증이 심할 경우, 의료진과 상담하여 진통제를 처방받아 정상적인 식사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식사량이 부족하다면 의료진의 처방을 받아 영양 보충 음료를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2) 폐 섬유화/방사선폐렴

방사선치료를 마친 후 1~3개월 안에 기침, 가래, 미열,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의료진과 상담하세요.


▶ 관리 방법

방사선폐렴은 일반적인 폐렴과 치료 방법이 다르므로,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습니다.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기침, 가래 등 호흡기 증상 조절을 위한 약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3) 식도협착/출혈/천공

식도 부위가 좁아지거나(협착), 출혈이 생기거나, 드물게 천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치료 부위와 강도에 따라 다르며,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 관리 방법

증상이 심각한 경우, 식도를 넓히는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암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은 본원 홈페이지의 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